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돼,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42만명으로 조사됐습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42만명으로 전체의 11.3%를 차지했습니다.
5년 전보다 무려 106만명이 증가했는데, 통계청이 5년 전 예상한 고령인구 비중인 11%를 넘어 고령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지난해 울산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처음으로 모든 시·도가 고령화 사회로 들어섰습니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이상은 초고령 사회로 분류되는데, 전남은 20.4%로 초고령 사회, 경북과 전북, 강원, 충남은 이미 고령 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14세 이하의 유소년 인구는 778만7천명으로 전체의 16.2%를 차지해 2005년 19.1%보다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1960년 전형적인 피라미드 형태였던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는 30, 40대의 인구가 중심을 이루고 30대 미만과 50대 이상이 적은 '항아리형'으로 변화했습니다.
아울러 전 국민을 연령별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연령인 중위연령은 38.1세로, 지난 2000년보다 6.1세가 높아져 고령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KTV 김경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