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을 설치하고 인터넷 은행에 접속해 계좌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기껏해야 10분!
은행에 가지 않아도, 은행원과 직접 대면하지 않아도, 손쉽게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 세상이 됐습니다.
국내 최초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와 뒤이어 6월에 후발주자로 등장할 카카오뱅크까지...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요.
인터넷 전문은행을 통해 소비자가 얻을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지 자세히 짚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얘기 나눠봅니다.
1.
인터넷 전문은행의 돌풍을 예상하셨나요?
이유가 뭘까요?
2.
기존 사용하던 인터넷 뱅킹이나 애플리케이션 이용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3.
하드웨어 비용을 줄이는 대신,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겠다는 것인데요.
어떤 혜택들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4.
인터넷 전문은행 이용 방법은 어떤가요?
스마트 폰이 익숙치않은 분들에게는 쉽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5.
대포통장 규제로 인터넷계좌 개설에 발목을 잡힌 사용자가 벌써 생겼다고 하죠.
대포통장 규제도 융통성 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더불어 아쉬운 규제 내용이 또 없을까요?
6.
점포 없는 은행, 우선 케이뱅크가 포문을 열었고 카카오뱅크도 뒤이어 진출하죠.
예상대로라면 2파전이 예상되는데요?
7.
카카오뱅크는 기존 메신저 이용자들, 막강 플랫폼을 갖췄잖아요.
아무래도 카카오톡 서비스와 연계하면 큰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겠죠?
8.
예금 금리는 높게 대출 이자는 낮게...얼마나 현실성이 있을까요?
9.
기존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시중 은행과 똑같은 혜택은 받을 수 있는 거죠?
인터넷 전문은행 이기 때문에 안전성에 의문을 가진 분들도 있을텐데요?
10.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인터넷 전문은행이 활성화 된 게 2000년대입니다.
특별히 눈여겨볼 성공한 모델이 있나요?
있다면 어떤 장점을 갖고 있는지요?
11.
가뜩이나 인터넷 뱅킹과 ATM기 확산으로 은행권 일자리가 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장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일지 않을지 우려하는 시선도 있습니다.
어떤가요?
11-1.
1호 케이뱅크가 출시 초반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가운데, 기존 은행보다는 저축은행이나 카드사 등 제 2금융권에 위협이 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거든요.
어떻게 보십니까?
12.
기존 시중은행도 인터넷 전문은행 시대에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지 않을까요?
어떤 모색 방안이 나올까요?
13.
2020년에는 모든 동전이 사라진다고 하죠.
궁극적으로는 현금 없는 시대가 도래할 텐데요.
우리 미래 금융, 어디까지 상상해볼 수 있을까요?
MC>
인터넷 전문 은행, 사업적 가치가 우선이지만 고객과의 신뢰를 먼저 쌓아나가는 일이 중요할 듯 합니다.
기대와 우려를 한 몸에 받는 만큼 안정적인 운용이 이뤄지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정철진 경제평론가였습니다.
참여해주셔서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