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뉴트로' 열풍···낡은 집 활용한 공예거리 등장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50분

'뉴트로' 열풍···낡은 집 활용한 공예거리 등장

등록일 : 2020.07.01

강민경 앵커>
요즘 복고문화를 재해석한 이른바 '뉴트로 관광지'가 인기입니다.
광주의 역사문화마을에는 낡은 집을 활용한 공예 특화거리가 등장해 관광객들의 발길이 늘고 있습니다.
추억의 골목길도 돌아보면서 공예문화 체험도 할 수 있는 거리, 순미경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순미경 국민기자>
(양림역사문화마을 / 광주시 남구)
구한말인 1900년대 초, 서양인 선교사들이 설립한 교회와 학교, 병원 등이 남아있는 광주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서양촌'이라고 불렸던 이곳은 잘 알려져 있는 관광명소인데요.
미국인 선교사가 살았던 서양식 주택부터 독립운동가의 한옥까지 근현대 건축물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런 유서 깊은 역사문화마을에 새로 조성된 공예특화거리, 광주시가 주민들과 도시재생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만들었는데요.
낡은 집 스무 채를 새로 단장해 지난달 문을 연 이곳, 다양한 공예품을 만드는 11개 공방이 들어섰는데요.
흙을 빚어 도자기와 장신구를 만드는 도자기 공방부터 나무를 다듬어 도마와 연필을 만드는 나무 공방, 그리고 수공예로 팔찌와 반지 등을 만드는 은 공방까지 다양합니다.
이곳을 찾은 관광객들은 공방에서 좋아하는 공예품을 사기도 하고,

인터뷰> 강미영 / 전주 관광객
“예쁜 것도 많아서 구입을 해봤어요. 볼거리가 많고 참 좋았던 것 같아요. 아이하고 추억거리도 있고...”

공예품을 직접 만들어 볼 수도 있는데요.
은 공방에서는 자신만의 은반지를 만들기 위해 도안 스케치부터 땜질과 줄질, 그리고 연마 과정을 체험해봅니다.

현장음>
“빨리할 필요 없어요. 천천히 반듯이...”

관광객들로부터 단연 인기를 끄는 공예품 만들기 체험, 세상에 단 하나뿐인 기념품을 직접 만들어 가져갈 수 있는 기분 좋은 시간입니다.

인터뷰> 허정우 / 부산 관광객
“반지가 참 예쁘게 돼서... 제가 좋아하는 단어도 새겼는데 그래서 더 보람 있었던 것 같아요.”

코로나19 사태로 필수품이 된 마스크를 만드는 체험도 인기를 끄는데요.
부드러운 속 천에 예쁜 무늬의 겉 천을 덧대어 꿰매고 뒤집으면 한여름에도 사용할 수 있는 면 마스크가 뚝딱 완성됩니다.

인터뷰> 김옥례 / 광주시 남구
“직접 만들어 보니까 너무 좋고 이게 천이라 숨쉬기도 좋고 알레르기도 괜찮을 것 같아요.”

코로나19로 인해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예작가들에게도 이곳 특화거리는 더없이 큰 힘이 돼주는데요.
여러 다른 분야의 공예작가들과 상생할 수 있다며 긍정적인 반응입니다.

인터뷰> 김태양 / 공방 운영 공예작가
“작가분들이 같이 있어서 협업을 통한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있고요. 관광객들 같은 경우에는 여행하시다가 마지막에 공예 제품을 쇼핑하고 돌아가실 수 있어서...”

(영상촬영: 임보현 국민기자)

이곳 공예특화거리 광장에서는 주말에 책갈피 만들기 등 간단한 체험과 함께 버스킹 공연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공예 특화거리가 조성된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이곳에는 어르신들이 걷는 뒷모습을 묘사해 이름 붙인 '펭귄 마을'도 있는데요.
한국관광공사가 이번 여름 안전하게 국내 여행을 할 수 있는 전국 100곳 중 하나로 선정한 이곳 '펭귄마을', 골목마다 옛 물건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어 공예체험을 한 뒤 과거로 시간 여행도 즐길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동균 / 펭귄마을 촌장
“펭귄마을을 들러볼 수도 있고 체험도 할 수 있는 공간들이 많이 있어서 오시면 참 좋습니다.”

옛 골목의 정취를 흠뻑 맛볼 수 있는 광주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공예특화거리와 어우러진 색다른 문화체험 관광지로 더욱 인기를 끌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순미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