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말로만 '혁신'? 규제 샌드박스, 처리율 저조하나 [사실은 이렇습니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말로만 '혁신'? 규제 샌드박스, 처리율 저조하나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록일 : 2020.07.23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이유리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이유리 팩트체커>
올해 5월 출범한 대한상공회의소의 규제 샌드박스 지원센터.
가장 기대를 모은 것은 민간 접수창구입니다.
그동안 공공기관에서만 담당했던 규제 샌드박스 지원기능을 민간영역까지 확대한 건데요.
기업이 넘어야할 문턱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한 언론에서는 대한상의 지원센터의 처리속도가 너무 느리다고 지적했습니다.
접근성은 낮췄지만 심의 과정은 오히려 ‘규제’가 됐다는 건데요.
그러나 대한상의에 파악한 결과, 접수된 안건 모두 원활하게 진행중입니다.
현재까지 접수된 93건 중 20건은 처리가 완료됐습니다.
나머지 32건은 전문위원회를 앞두고 있고, 41건은 법률적 검토를 진행중입니다.
대한상의는 안건을 지금보다 더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인력을 늘렸습니다.
또 유사한 안건은 패스트트랙을 운영해, 서면 심의를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만 일정기간 동안 규제에서 벗어나는 사업들인 만큼, 규제 해소와 더불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도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 가치를 모두 지키기 위해 각 심의 과정에서 심도 있는 논의 시간은 꼭 필요한 겁니다.

다음 주제입니다.
교육부가 대학들의 원격수업을 뉴-노멀로 정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대학은 지난 1학기동안 온라인 수업과 원격 수업을 병행했는데요.
교육부는 원격 수업이 대학 강의의 새로운 표준이 되도록 지원에 나설 계획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전체 학점에 20%만 원격수업을 허용했던 제한을 폐지한 겁니다.
그러나 한 매체는 이를 비판했습니다.
원격 수업의 질에 대한 확실한 대책은 없이 문턱만 낮췄다는 겁니다.
갑자기 나타난 감염병 탓에 확대된 원격수업.
교육부는 이번 제한 완화는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이 그 목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계획도 함께 수립했습니다.
각 대학에는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과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원격교육 지원센터 설치를 의무화했습니다.
또 원격수업 관리위원회는 학생이 참여해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외부기관의 수업 평가 인증제도 시행합니다.
뿐만 아니라 권역별로 원격교육 지원센터를 설치합니다.
대학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 스튜디오도 구축할 계획입니다.

다음주제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5월 국회를 통과한 n번방 방지법.
정보통신망법도 개정돼, 인터넷 사업자는 불법촬영물 등 유통방지 책임자를 둬야합니다.
그런데 한 신문에서는 이 유통방지 책임자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술적이나 관리적인 조치가 모호하다는 겁니다.
또 인터넷 사업자가 불법촬영물 삭제 요청에 응하지 않을 경우 이를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도 한계로 꼽았습니다.
그러나 개정된 정보통신망법을 보면, 전기통신 사업법을 통해 책임자의 업무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불법촬영물 등을 삭제하거나 접속 차단 등 유통을 막는 조치를 수행합니다.
불법촬영물 등의 삭제 요청에 응하지 않을 경우, 처할 수 있는 벌칙도 전기통신사업법 안에 있습니다.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 규정이 신설됐습니다.
혹은 매출액의 3% 이하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궁금증에 대한 정확한 팩트, 전해드렸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